|

교회 홈페이지 제작 의뢰 전, 반드시 알아야 할 7가지 필수사항

“홈페이지만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돈은 드릴게요.”

교회 홈페이지 제작을 의뢰하시는 분들께서 가장 많이 하시는 말씀입니다. 하지만 이런 접근 방식은 나중에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교회들이 홈페이지 제작 후 예상치 못한 문제들로 어려움을 겪고 계시죠.

오늘은 교회 홈페이지 제작을 의뢰하기 전에 반드시 숙지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현명한 의뢰자가 되어 성공적인 교회 홈페이지를 구축하시기 바랍니다.

1. 도메인과 호스팅 소유권, 절대 놓치지 마세요!

실제 사례: A교회의 악몽

홈페이지를 새로 만들거나, 있는 내용을 수정해 줄 수 있는지 묻는 여러 목사님들에게 제일 먼저 드리는 질문은 “그 홈페이지의 관리 권한을 가지고 계시느냐?”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목사님들이 홈페이지를 교인, 아는 분, 또는 소개를 받은 분에게 부탁을 하면서 알아서 만들어 달라고 합니다. 그런데 홈페이지를 만든 분이 교회를 떠나거나 연락을 해도 연결이 되지 않거나, 또는 관계가 틀어져서 요청을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곤 합니다. 그 때 가서 스스로라도 뭔가를 해보려고 하는데 홈페이지에 접속 권한이 없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또는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글을 올리는 것은 가능한데 디자인을 수정하거나, 원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제서야 홈페이지의 도메인도, 호스팅도 홈페이지를 만드신 분이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

  • 도메인은 교회 명의로 등록하세요
  • 호스팅 계정도 교회 담당자 이름으로 개설하세요
  • 도메인 등록 시 교회 담당자의 이메일을 사용하세요
  • 관리자 권한을 반드시 확보하세요

💡 TIP 1: 도메인 갱신 알림이 교회 이메일로 오도록 설정하여 만료되지 않도록 관리하세요.
💡 TIP 2: 홈페이지 관리용 이메일을 따로 만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홈페이지를 만들면 도메인, 호스팅 뿐 아니라 보안, 백업 등을 위해 여러 서비스에 가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본인이 직접 만드는 경우 모든 이메일을 본인이 컨트롤할 수 있지만 다른 분에게 부탁을 할 경우 이메일 인증, 승인 등을 위해 이메일에 접속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니 이럴 경우는 홈페이지 관리를 위한 이메일을 만들어 함께 공유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계약서, 구두약속은 증거가 없습니다

업체와 계약할 때는 반드시 아래의 내용을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부탁의 경우는 계약서를 쓸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더라도 필요한 내용에 대해 어느 정도 서로간의 약속이 필요합니다. 미리 합의되지 않은 사항을 추후에 요청하게 될 경우 제작하는 입장에서도 곤란한 경우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계약서(약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제작 범위

  • 페이지 수와 구체적인 기능
  • 디자인 시안 제공 횟수
  • 반응형 웹 포함 여부

일정과 비용

  • 단계별 제작 일정
  • 지연 시 책임 소재
  • 수정 요청 횟수와 추가 비용 기준

완성 후 권한 이양

  • 소스코드 제공
  • 관리자 계정 이양
  • 교육 및 매뉴얼 제공

사후 지원

  • 무상 A/S 기간
  • 유지보수 범위와 비용
  • 긴급 상황 대응 시간

3. 콘텐츠 준비, “알아서 해주세요”는 금물!

홈페이지를 제작할 때 만드는 분의 의무도 중요하지만, 요청하는 분의 의무도 무척 중요합니다. 아래 내용들을 둘러보고 필요한 사항들(만들고자 하는 홈페이지의 내용)을 미리 준비해서 제공해야 합니다. 제작을 요청하면서 “일단 틀만 만들어줘. 내가 내용은 차차 채워 넣을께.”라고 말씀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목사님들이 모두 바쁘시기 때문에 홈페이지는 팻말만 있고 내용이 없는 흉가로 방치되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홈페이지의 기능이 ‘존재한다!’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라는 것이라면 오히려 콘텐츠가 준비된 후에 제작에 들어가는 것이 더 좋습니다.

미리 준비해야 할 콘텐츠들

기본 정보

  • 교회 정확한 명칭과 영문명
  • 교회 연혁과 비전
  • 위치와 대중교통 이용법
  • 주차 안내

목회진 정보

  • 담임목사 및 교역자 프로필
  • 고화질 증명사진
  • 간단한 인사말

예배와 모임

  • 주일예배 및 각종 예배 시간
  • 부서별 모임 일정
  • 특별 행사 안내

시각 자료

  • 교회 로고 (고해상도)
  • 교회 건물 내외부 사진
  • 예배 모습 사진

⚠️ 주의: 콘텐츠가 준비되지 않으면 제작 기간이 2-3배 늘어날 수 있습니다.

4. 기능과 예산, 현실적으로 설정하세요

우선순위별 기능 분류

1단계: 필수 기능

  • 교회 소개 및 찾아오는 길
  • 예배 안내
  • 설교 말씀 게시
  • 교회 소식

2단계: 편의 기능

  • 온라인 예배 스트리밍
  • 기본적인 온라인 헌금
  • 교인 게시판

3단계: 고급 기능

  • 교인 관리 시스템
  • 예약 시스템
  • 뉴스레터 자동 발송
  • 모바일 앱 연동

단계적 구축의 장점

  • 초기 비용 부담 감소
  • 사용자 반응을 보고 개선
  • 기술 변화에 유연한 대응

5. 사후 관리 체계, 미리 준비하세요

교회 내부 담당자 지정

담당자의 조건

  • 기본적인 컴퓨터 활용 능력
  • 정기적인 업데이트 가능한 시간
  • 간단한 문제 해결 의지

담당자의 역할

  • 주간 교회 소식 업데이트
  • 설교 말씀 업로드
  • 사진 및 행사 안내 게시
  • 간단한 문의 응답

정기 점검 계획

  • 매주: 새로운 콘텐츠 업데이트
  • 매월: 링크 오류 및 기능 점검
  • 분기별: 보안 업데이트 확인
  • 연 1회: 전체적인 리뉴얼 검토

6. 개인정보보호, 교회도 예외가 아닙니다

법적 의무사항

개인정보처리방침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수집 목적과 보유 기간
  • 제3자 제공 여부
  • 개인정보 처리 책임자

교인 정보 처리 시 주의사항

  • 사진 게시 전 동의 받기
  • 미성년자는 보호자 동의 필수
  • 연락처 등 민감정보 비공개 원칙

보안 강화 방법

  • SSL 인증서 설치
  • 정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 백업 시스템 구축
  • 보안 플러그인 설치

7. 제작업체 선정, 가격만 보지 마세요

아래 내용은 참고사항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성‘이 아닌가 싶습니다. 돈을 목적으로 하는 업체(개인)보다 홈페이지를 통한 소명(열심)을 가진 업체(개인)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회에 재정이 넉넉해서 관리 직원, 또는 팀을 두고 작업을 한다면 그 시스템만 잘 운영하면 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누군가에게 맡겨야 할텐데 ‘잘 만드는가?’ 외에 ‘잘 소통할 수 있는가?’, ‘주인의식을 가지고 관리할 수 있는가?’ 등도 신경써야 합니다.

위의 고려해야 할 사항을 잘 생각해본다면, ‘잘 만드는가?’를 제외하고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은 바로 ‘의뢰하는 분’ 자신입니다. 그렇다면,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과정에 어느 정도 직접 참여하거나, 또는 매뉴얼, 교육 등을 통해서 어느 정도 홈페이지를 다룰 수 있는 기술을 직접 습득하는 게 가장 중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래서 최소한 내용을 업데이트하고, 어느 정도 디자인도 수정할 수 있는 기초를 갖게 된다면… 요즘은 유튜브 등을 통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에 조금의 기초만 가지고 있으면 왠만한 홈페이지는 직접 만드는 것을 도전해볼 수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업체 선정 시 확인사항

포트폴리오 검증

  • 완성된 교회 홈페이지 확인
  • 현재도 정상 운영되는지 점검
  • 디자인과 기능의 완성도

사후 지원 체계

  • 문의 시 응답 속도
  • 기술 지원 가능 시간
  • 긴급상황 대응 방법

업체의 안정성

  • 사업자등록증 확인
  • 최소 3년 이상 운영 실적
  • 담당자와의 소통 원활성

위험한 업체의 특징

  • 지나치게 저렴한 가격 제시
  • 계약서 작성을 꺼리는 업체
  • 도메인/호스팅을 자신들이 관리하겠다는 업체
  • 포트폴리오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는 업체

마무리: 성공적인 교회 홈페이지를 위한 체크리스트

홈페이지 제작 의뢰 전, 다음 사항들을 점검해보세요:

  • [ ] 도메인과 호스팅 소유권 계획 수립
  • [ ] 상세한 계약서 준비
  • [ ] 필요한 콘텐츠 수집 완료
  • [ ] 기능과 예산의 우선순위 정리
  • [ ] 교회 내 담당자 지정
  • [ ] 개인정보보호 방침 검토
  • [ ] 신뢰할 만한 업체 선정

홈페이지는 현대 교회 사역의 중요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성급하게 진행하면 오히려 부담만 커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 제시한 사항들을 충분히 검토하고 준비하신 후 제작을 의뢰하시면, 교회와 성도들 모두에게 유익한 홈페이지를 구축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기억하세요: 좋은 홈페이지는 돈으로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충분한 준비와 현명한 의사결정으로 완성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다른 교회 담당자들과도 공유해 주세요. 모든 교회가 성공적인 온라인 사역을 펼쳐나가시길 기도합니다.

Similar Posts

  • 교회 및 기관이 위원회를 만들어 특별 기념 문집 및 홈페이지를 만들고자 할 때 Notion을 활용한 협업 아이디어

    Notion은 교회나 기독교 기관의 특별 기념 문집 제작과 홈페이지 관리에 효과적인 협업 도구입니다. 다양한 기능을 통합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실시간 협업이 가능합니다. 프로젝트 일정 관리, 콘텐츠 기획, 자료 수집, 원고 작성, 피드백 및 승인 프로세스 등 전 과정을 Notion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간트 차트, 할일 목록, 데이터베이스, 공동 문서 작성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가능합니다. 특히 성경 구절, 교회 역사, 간증 등 신앙적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에서 Notion을 활용해 풍성한 기념 문집을 제작하고, 기독교 출판사의 홈페이지를 성공적으로 리뉴얼한 경험이 있습니다. 다만 사용자 교육과 보안, 백업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Notion을 활용하면 영적인 내용과 실무적인 작업을 조화롭게 관리하며, 효율적이고 의미 있는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WordPress를 통해 교회 홈페이지를 만들 때 유용한 플러그인 추천

    WordPress는 교회 홈페이지 구축에 적합한 플랫폼으로, 다양한 플러그인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예배 및 행사 관리를 위해 The Events Calendar와 Church Content 플러그인이 유용하며, 일정 관리와 교회 특화 콘텐츠 관리를 지원한다. 기부 및 헌금 관리에는 GiveWP와 Charitable이 추천되며, 다양한 헌금 옵션과 캠페인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설교 및 미디어 관리를 위해서는 SermonManager와 Seriously Simple Podcasting이 효과적이다. SermonManager는 설교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하며, Seriously Simple Podcasting은 다양한 오디오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배포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플러그인들은 교회 웹사이트의 기능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온라인에서의 선교와 교제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 하나님이 주신 재능과 소명: 정결한 그릇으로 살아가기

    하나님이 주신 재능과 소명: 정결한 그릇으로 살아가기 우리 존재의 의미 성경은 우리의 존재가 우연이 아닌 하나님의 계획에 의한 것임을 분명히 말씀하고 있습니다. 시편 139:16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내 형질이 이루어지기 전에 주의 눈이 보셨으며 나를 위하여 정한 날이 하나도 되기 전에 주의 책에 다 기록이 되었나이다” 이 말씀은 우리 각자의 삶이 하나님의 특별한 계획 안에 있음을…

  • 미국에서 교회, Non-profit 기관에서 무료 또는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유용한 소프트웨어 서비스 추천 1

    교회와 비영리 단체를 위한 소프트웨어는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에 필수적이다. Planning Center와 Breeze ChMS는 교회 관리 시스템으로, 회원 관리, 소그룹 운영, 자동화된 팔로우업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Church Online Platform과 StreamYard는 온라인 예배 및 스트리밍을 위한 도구로, 실시간 기도 요청, 가상 로비, 다중 플랫폼 스트리밍 등을 지원한다.

    비영리 단체를 위해 Salesforce Nonprofit Cloud와 HubSpot for Nonprofits는 CRM 시스템을 제공하며, 영향력 측정, 자원 매칭, 다채널 캠페인 관리 등의 기능이 있다. DonorPerfect와 Bloomerang은 기부금 관리에 특화되어 있다.

    Google Workspace for Nonprofits와 Microsoft 365 Nonprofit은 협업 도구로, 실시간 문서 공동 작업, 화상 회의, 데이터 분석 등을 지원한다. QuickBooks Nonprofit과 Aplos는 비영리 단체의 회계 및 재무 관리를 돕는다.

    추가로 Canva Pro는 디자인 도구를, Zoom은 화상 회의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러한 도구들은 대부분 무료 또는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되어 비용 절감에 도움을 준다.

  • 재정이 열약한 교회에서 온라인 라이브 예배를 하기 위한 최적의 시스템 구성 아이디어

    I. 서론 A. 온라인 예배의 중요성 B. 재정이 열악한 교회의 현실 II. 최소한의 장비 구성 A.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B. 삼각대 C. 외장 마이크 III. 무료 소프트웨어 활용 A.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 B. 페이스북 라이브 C. 줌(Zoom) 무료 버전 IV. 인터넷 연결 최적화 A. 유선 인터넷 활용 B. 모바일 데이터 사용 시 주의사항 V. 영상…

  • 후원자님들께 감사합니다.

    후원자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지난 한 해 JIWU Mission을 후원해 주심에 감사합니다. 2024년은 JIWU Mission의 기초를 닦으며 많은 시행착오를 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런 가운데 하나님의 도우심을 더 많이 체험할 수 있었습니다. 미리 준비하시고, 좋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고, 또 여러가지를 시도해 볼 수 있었습니다. JIWU Mission은 ‘Jesus is with us’의 이니셜을 따서 이름을 붙였습니다. ‘하늘은 스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