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관련 주요 용어

1. 기본 개념

  •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컴퓨터가 사람처럼 사고·학습·판단할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의 총칭입니다. 문제 해결, 패턴 인식, 예측 등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합니다.
  •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ML) 컴퓨터가 명시적 프로그램 없이 데이터로부터 규칙을 스스로 학습해 예측·분류 등을 수행하는 기술입니다.
  • 딥러닝(Deep Learning) 여러 층의 신경망을 이용해 복잡한 패턴을 학습하는 기계학습의 한 분야로, 이미지·음성·언어 처리에서 성능이 뛰어납니다.
  • 신경망(Neural Network) 입력층·은닉층·출력층으로 구성된 구조로, 데이터를 통해 연결 가중치를 조정하며 학습하는 모델입니다.
  • 자연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사람의 언어(문장·대화)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생성·분석하게 하는 기술 분야입니다.
  • 챗봇(Chatbot) 사용자와 자동으로 대화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로, 고객응대·정보제공·간단한 작업대행 등에 쓰입니다.
  • 생성형 AI(Generative AI) 텍스트·이미지·음악 등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AI 계열로, 예: 문장 생성, 그림 생성 등이 가능합니다.
  • 언어모델(Language Model) 문맥을 보고 다음에 올 단어를 예측하거나 문장을 생성하는 모델로, 번역·요약·대화에 핵심 역할을 합니다.
  • 대규모 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 방대한 텍스트로 사전학습되어 다양한 언어작업(번역, 질문응답, 요약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거대 모델입니다.
  • 프롬프트(Prompt) AI에게 주는 입력 문장(질문·지시). 프롬프트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집니다.
  • 토큰(Token) AI가 문장을 처리할 때 나누는 최소 단위(단어·어근·문자 조각 등). 토큰 수가 모델 사용량이나 비용에 영향을 줍니다.
  • 훈련 데이터(Training Data) 모델을 학습시키기 위해 쓰는 예시 자료(문장, 이미지 등). 데이터 품질이 모델 성능을 좌우합니다.
  • 알고리즘(Algorithm)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적 절차나 규칙의 모음으로, AI의 동작 원리를 만드는 수학적 방법입니다.
  • 파인튜닝(Fine-tuning) 이미 학습된 모델을 특정 업무(예: 의료, 법률)에 맞춰 추가로 학습시키는 과정입니다.
  •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RL) 행동을 시도하고 보상(또는 벌점)을 받아 최적 행동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게임·제어 등에 활용됩니다.
  • 인간피드백기반 강화학습 RLHF(Reinforcement Learning with Human Feedback) 사람의 평가·교정을 활용해 모델을 더 인간 친화적으로 조정하는 기법입니다.
  • AI피드백기반 강화학습 RLAIF(Reinforcement Learning with AI Feedback) 인간 대신 AI가 평가자(critic) 역할을 해서 모델을 교정합니다. AutoRL / Self-Play Reinforcement Learning(자율 강화학습 / 자가대국기반 강화학습 – AlphaGo가 자신과 대국하며 학습하는 것)과 Synthetic Feedback / AI-generated Feedback(합성 피드백 / AI 생성 피드백 – AI가 스스로 만든 기준으로 학습하는 것) 학습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다른 프로그램이 AI나 서비스를 쉽게 호출해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통로)입니다.
  • 편향(Bias) 학습 데이터의 불균형이나 편향 때문에 모델이 특정 그룹에 대해 불공정한 판단을 내리는 문제입니다.
  • 오버피팅(Overfitting) 모델이 훈련 데이터에만 너무 맞춰져서 새로운 데이터에서는 성능이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 특이점(Singularity) (미래학적 개념) AI가 인간 지능을 넘어 독자적으로 발전해 사회에 큰 변화를 일으키는 가상의 시점을 뜻합니다.

2. 모델·학습 관련

  • 모델(Model)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작업(분류, 예측 등)을 수행하도록 만든 수학적·컴퓨터 프로그램입니다.
  • 사전학습(Pre-training) 대규모 일반 데이터로 먼저 기본 패턴을 학습시켜, 이후 다양한 응용에 적응시키기 위한 초기 학습 단계입니다.
  • 전이학습(Transfer Learning) 한 작업에서 얻은 지식을 다른 관련 작업에 이용해 적은 데이터로도 좋은 성능을 내게 하는 기법입니다.
  • 샘플링(Sampling) 모델이 생성 과정에서 여러 가능한 결과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다양성이나 확률적 결과에 사용됩니다.
  • 드롭아웃(Dropout) 학습 중 일부 뉴런을 임의로 끄는 기법으로 과적합을 막고 모델의 일반화를 돕습니다.
  • 하이퍼파라미터(Hyperparameter) 학습 전에 사람이 설정하는 값(예: 학습률, 층 수)으로, 모델 학습 성능에 큰 영향을 줍니다.
  • 추론(Inference) 학습된 모델을 실제 데이터에 적용해 결과(예측·분류)를 얻는 단계입니다.
  • 경량화 모델(Lightweight Model) 메모리·연산 제한이 있는 기기에서도 동작하도록 모델 크기와 연산을 줄인 버전입니다(모바일·엣지용).
  • 양자화(Quantization) 수치 표현을 단순화(예: 32비트→8비트)하여 모델 크기와 연산을 줄이는 최적화 기술입니다.
  • 프루닝(Pruning) 중요하지 않은 연결이나 뉴런을 제거해 모델을 작게 만들고 실행 속도를 빠르게 하는 방법입니다.
  • 파라미터(Parameter) 모델 내부에서 학습으로 결정되는 수치(가중치 등)로, 모델의 동작을 실제로 결정합니다.
  • 피처(Feature) 입력 데이터의 개별 속성(예: 나이, 키, 텍스트의 단어 등)으로, 모델 학습의 기본 단위입니다.
  • 임베딩(Embedding) 단어·문장 등을 수치 벡터로 변환해 의미적으로 유사한 항목이 가까이 오도록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 벡터(Vector) 숫자의 배열로서 단어·이미지 등 복잡한 정보를 수치 형태로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 제로샷(Zero-shot) 학습 해당 작업의 예시를 한 번도 보지 못한 상태에서 모델이 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 **원샷(**One-shot) 학습 모델에 예시 하나를 보여주고, 그 패턴을 따라서 문제를 풀게 하는 방식.
  • 퓨샷(Few-shot) 학습 모델에 여러 개의 예시(보통 몇 개~수십 개) 를 보여준 뒤, 같은 형식으로 답을 유도하는 방식.
  • 멀티모달(Multimodal) 텍스트·이미지·음성 등 여러 형태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이해할 수 있는 모델을 말합니다.
  • 설명가능한 AI(Explainable AI, XAI) 모델의 결론이나 판단 과정을 사람이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하려는 연구·기술 분야입니다.
  • 안전성(Safety) AI가 잘못된 행동을 하지 않도록 설계·검증하는 개념으로, 위험 방지와 신뢰성 확보를 포함합니다.
  • 투명성(Transparency) AI의 작동 방식이나 데이터 출처, 제한점을 명확히 공개해 신뢰를 만드는 원칙입니다.
  • 악용 가능성(Misuse) AI 기술이 범죄·사기·프라이버시 침해 등 나쁜 목적에 사용될 위험을 의미합니다.

3. 데이터·처리 관련

  • 빅데이터(Big Data) 크기·속도·다양성 면에서 기존 도구로 처리하기 어려운 방대한 데이터 집합을 의미합니다.
  • 구조화 데이터(Structured Data) 표나 데이터베이스처럼 정해진 형식(열·행)을 가진 데이터로, 쉽게 검색·분석할 수 있습니다.
  •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 이미지·문서·음성처럼 규칙 없는 형태의 데이터로, 처리·분석을 위해 추가 전처리가 필요합니다.
  • ETL(Extract, Transform, Load) 데이터를 추출(Extract), 가공(Transform), 저장(Load)해 분석용으로 준비하는 전처리 파이프라인입니다.
  •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대량의 데이터에서 유의미한 패턴·규칙·통찰을 자동으로 찾아내는 분석 기법입니다.
  • 데이터 라벨링(Data Labeling) 학습용으로 데이터에 정답·태그를 부여하는 작업으로, 품질이 모델 성능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 데이터셋(Dataset) 모델 학습·평가에 사용되는 데이터 모음으로, 구성과 품질 관리가 중요합니다.
  • 샘플(Sample) 데이터셋을 구성하는 개별 항목(한 문장, 한 이미지 등)입니다.
  • 배치(Batch) 한 번에 모델에 넣어 학습시키는 데이터 묶음으로, 배치 크기는 학습 속도와 안정성에 영향을 줍니다.
  • 에폭(Epoch) 전체 학습 데이터를 한 번 모두 사용해 모델을 업데이트하는 횟수를 말합니다(여러 에폭을 반복 학습).
  • 데이터 레이크(Data Lake) 가공하지 않은 원시 데이터를 그대로 저장해 필요할 때 가공·분석하는 대용량 저장소입니다.
  •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주로 분석용으로 정제·구조화된 데이터를 모아둔 저장소로, 기업 인텔리전스에 사용됩니다.
  •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코드·설명·그래프를 한 문서에서 함께 작성·실행할 수 있는 연구·교육용 도구입니다.
  • 파이썬(Python) AI 개발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풍부한 라이브러리와 쉬운 문법이 장점입니다.
  • 텐서플로(TensorFlow) 구글이 개발한 딥러닝 라이브러리로 대규모 모델 개발·배포에 강점을 지닙니다.
  • 파이토치(PyTorch) 연구자들과 개발자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 딥러닝 프레임워크로, 유연한 설계와 디버깅이 편합니다.
  •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대량의 병렬 연산을 빠르게 처리하는 하드웨어로, 딥러닝 학습에 필수적입니다.
  • 클라우드 저장소(Cloud Storage) 인터넷 기반 저장 공간으로 대용량 데이터의 보관·공유·백업에 편리합니다.
  • 컨테이너(Container) 프로그램과 그 환경을 묶어 어느 서버에서나 동일하게 실행되도록 하는 기술(Docker 등)입니다.
  • 쿠버네티스(Kubernetes) 다수의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배포·확장·관리해주는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입니다.

4. 인프라·환경 관련

  • 데이터센터(Data Center) 대규모 서버와 저장장비가 모여 서비스·연산을 제공하는 물리적 시설입니다.
  • 온프레미스(On-premise) 회사 내부에 직접 서버를 두고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보안·통제 측면의 장점이 있습니다.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인터넷을 통해 서버·스토리지·서비스를 빌려 쓰는 방식으로 유연한 확장과 비용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 중앙 서버가 아닌 사용자 가까운 기기(엣지)에서 데이터를 처리해 지연 시간을 줄이는 방식입니다.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센서·가전 등 기기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수집·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합니다.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Cloud) 내부 서버(온프레미스)와 퍼블릭 클라우드를 혼합해 장단점을 조합해 쓰는 운영 방식입니다.
  • 분산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 여러 대의 컴퓨터가 작업을 나눠 동시에 수행해 대규모 연산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입니다.
  • 서버리스(Serverless) 개발자가 서버 관리를 신경 쓰지 않고 코드를 클라우드에서 실행만 하면 되는 운영 모델입니다.
  •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센서·로봇·AI를 연계해 공정 자동화·효율화를 실현한 첨단 제조 환경입니다.
  • 스마트시티(Smart City) 도시의 교통·에너지·환경 관리를 IoT와 AI로 최적화해 삶의 질을 높이는 개념입니다.
  • 로보틱스(Robotics) 하드웨어(로봇)와 AI를 결합하여 물리적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술 분야입니다.
  • 자율주행(Autonomous Driving) 차량이 사람 개입 없이 주변을 인식하고 스스로 주행하는 기술로 센서·소프트웨어가 핵심입니다.
  •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현실 세계의 장치·시스템을 가상 공간에 똑같이 모델링해 시뮬레이션·모니터링하는 기술입니다.
  •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MR(혼합현실)을 통틀어 현실 경험을 확장하는 기술군을 뜻합니다.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현실 화면 위에 디지털 정보를 덧붙여 보여주는 기술로, 안내·교육·엔터테인먼트에 응용됩니다.
  •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완전히 가상의 3D 환경에 사용자를 몰입시키는 기술로 시뮬레이션과 체험에 적합합니다.
  •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현실과 가상을 실시간으로 결합해 상호작용하는 환경을 만드는 기술입니다.
  • 고성능 컴퓨팅(High Performance Computing (HPC)) 대규모 연산을 빠르게 처리하는 슈퍼컴퓨팅 기술로, 과학·시뮬레이션에 사용됩니다.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loud Service Provider) AWS, Azure, GCP 등 클라우드 인프라·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을 말합니다.
  • API 게이트웨이(API Gateway) 여러 API 요청을 받아 라우팅·보안·모니터링을 담당하는 중앙 관문 역할을 합니다.

5. 서비스·윤리·사회 관련

  • AI 브라우저(AI Browser)

    AI 브라우저는 인공지능 기술이 통합된 웹 브라우저로, 일반 브라우저와 달리 정보 검색, 콘텐츠 요약, 질의응답 등 AI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AI 브라우저로는:
    • Dia: 컨텍스트 인지 챗봇과 사용자 맞춤 기능을 갖춘 macOS 전용 AI 브라우저
    • Microsoft Edge: 마이크로소프트의 브라우저로 Bing AI와 통합되어 검색 및 콘텐츠 생성 기능을 제공합니다.
    • Perplexity Comet: 자체 AI 시스템을 활용해 빠르고 정확한 정보 검색과 업무 자동화 제공
    • Google Chrome: 구글의 AI 모델인 Gemini가 크롬에 통합되어 복잡한 정보를 자동으로 해석하고 여러 탭에 걸친 내용을 종합해 요약해줍니다.
    • Sigma AI Browser: 콘텐츠 생성과 요약 기능에 강점이 있으며, 개인정보 보호에 중점
    • Genspark: 연구와 반복 작업 자동화에 특화된 AI 브라우저
    • Opera Neon: 사용자 맞춤 미니 앱과 AI 탭 관리 기능을 가진 실험적 AI 브라우저
    • Quetta Browser: AI 기반 광고 차단과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강조
    • Arc Browse: The Browser Company에서 개발한 브라우저로 검색 결과를 AI가 요약해주고 정보를 더 쉽게 찾을 수 있게 도와줍니다.
    • Opera One: Opera 브라우저의 AI 통합 버전으로 Aria라는 AI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 Brave Search: 프라이버시 중심 브라우저인 Brave에서 제공하는 AI 검색 기능이 통합된 브라우저입니다.
  • 챗GPT(ChatGPT) OpenAI에서 만든 대화형 언어 모델 서비스로, 자연스러운 대화·정보 제공·작문 보조 등에 널리 쓰입니다.
  • 제미니(Gemini) 구글이 제공하는 대화형 AI 브랜드로, 검색·생성형 기능을 결합해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 코파일럿(Copilot) 마이크로소프트(또는 GitHub)의 AI 도우미로, 코드 작성·문서 초안 작성 등 생산성 보조에 초점을 둡니다.
  • 디지털 비서(Digital Assistant) 음성·문자 명령으로 일정·검색·제어를 도와주는 AI 서비스(예: Siri, Alexa)입니다.
  •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사람의 말을 텍스트로 바꾸는 기술로, 전화응대·음성비서·자막 생성 등에 활용됩니다.
  • 음성 합성(Text-to-Speech (TTS)) 텍스트를 자연스러운 음성으로 변환해 읽어주는 기술로, 접근성 개선에 유용합니다.
  •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이미지·영상에서 객체를 인식·분류·추적하는 기술로, 보안·의료·자율주행 등에서 활용됩니다.
  • AI 번역기(AI Translator) 기계번역 기술을 활용해 자동으로 언어를 번역하는 서비스로, 실시간 통역에도 적용됩니다.
  • AI 미술(AI Art) AI가 그림·디자인을 생성하거나 보조해 창작 활동을 돕는 기술·서비스입니다.
  • AI 음악(AI Music) 작곡·편곡·연주 스타일 생성 등 음악 창작을 돕거나 자동화하는 AI 기술입니다.
  • 핀테크(FinTech) 금융 서비스를 기술과 결합해 자동화·개인화·편의성을 높이는 산업 분야입니다.
  • 에듀테크(EduTech) 교육에 기술을 접목해 개인 맞춤형 학습·평가·콘텐츠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분야입니다.
  • 헬스케어 AI(Healthcare AI) 의료 영상 판독·진단 보조·약물개발·환자 모니터링 등 보건의료에 AI를 적용하는 영역입니다.
  • 리테일 AI(Retail AI) 매장 재고관리·추천·수요예측·고객분석 등 소매업에 AI를 적용하는 기술입니다.
  • 개인정보 보호(Privacy) 개인의 신상정보·행동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무단 사용을 막는 원칙과 기술을 뜻합니다.
  •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유럽연합의 엄격한 개인정보 보호 규정으로, 데이터 수집·처리·보관에 강력한 규제를 둡니다.
  • AI 규제(AI Regulation) 정부·기관이 AI 사용을 안전하고 공정하게 만들기 위해 마련하는 법적·행정적 규제들입니다.
  • 딥페이크(Deepfake) AI를 이용해 사람의 얼굴·목소리를 조작·합성한 가짜 미디어로, 사기·명예훼손 등 위험이 큽니다.
  • 가짜뉴스(Fake News) 허위 또는 조작된 정보를 AI가 확산시키는 사례로 사회적 혼란과 신뢰 약화를 초래합니다.
  •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기술 접근성의 차이로 인해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과의 경제·교육·정보 격차를 말합니다.

Similar Posts

  • 교회 및 기관이 위원회를 만들어 특별 기념 문집 및 홈페이지를 만들고자 할 때 Notion을 활용한 협업 아이디어

    Notion은 교회나 기독교 기관의 특별 기념 문집 제작과 홈페이지 관리에 효과적인 협업 도구입니다. 다양한 기능을 통합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실시간 협업이 가능합니다. 프로젝트 일정 관리, 콘텐츠 기획, 자료 수집, 원고 작성, 피드백 및 승인 프로세스 등 전 과정을 Notion에서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간트 차트, 할일 목록, 데이터베이스, 공동 문서 작성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가능합니다. 특히 성경 구절, 교회 역사, 간증 등 신앙적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에서 Notion을 활용해 풍성한 기념 문집을 제작하고, 기독교 출판사의 홈페이지를 성공적으로 리뉴얼한 경험이 있습니다. 다만 사용자 교육과 보안, 백업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Notion을 활용하면 영적인 내용과 실무적인 작업을 조화롭게 관리하며, 효율적이고 의미 있는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무료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인 ‘FreeShow’를 활용한 예배 자막 시스템 구성

    FreeShow는 교회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예배 자막 프로그램으로, 고가의 상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입니다. 다중 화면 지원, 실시간 자막 송출, 온라인 성경 데이터베이스 연동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와 커스터마이징 옵션으로 교회의 특성에 맞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설치와 설정이 간단하며, 예배 순서별 템플릿 제작, 스마트 입력 시스템을 통한 효율적인 자막 관리가 가능합니다. 비용 절감 효과가 크며,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자원봉사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백업, 적절한 하드웨어 확인,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중요합니다. FreeShow는 예배의 질을 높이고 회중의 참여를 촉진하며, 향후 AI, VR, AR 기술과의 통합 등을 통해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미국에서 교회, Non-profit 기관에서 무료 또는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유용한 소프트웨어 서비스 추천 1

    교회와 비영리 단체를 위한 소프트웨어는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에 필수적이다. Planning Center와 Breeze ChMS는 교회 관리 시스템으로, 회원 관리, 소그룹 운영, 자동화된 팔로우업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Church Online Platform과 StreamYard는 온라인 예배 및 스트리밍을 위한 도구로, 실시간 기도 요청, 가상 로비, 다중 플랫폼 스트리밍 등을 지원한다.

    비영리 단체를 위해 Salesforce Nonprofit Cloud와 HubSpot for Nonprofits는 CRM 시스템을 제공하며, 영향력 측정, 자원 매칭, 다채널 캠페인 관리 등의 기능이 있다. DonorPerfect와 Bloomerang은 기부금 관리에 특화되어 있다.

    Google Workspace for Nonprofits와 Microsoft 365 Nonprofit은 협업 도구로, 실시간 문서 공동 작업, 화상 회의, 데이터 분석 등을 지원한다. QuickBooks Nonprofit과 Aplos는 비영리 단체의 회계 및 재무 관리를 돕는다.

    추가로 Canva Pro는 디자인 도구를, Zoom은 화상 회의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러한 도구들은 대부분 무료 또는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되어 비용 절감에 도움을 준다.

  • WordPress를 통해 교회 홈페이지를 만들 때 유용한 플러그인 추천

    WordPress는 교회 홈페이지 구축에 적합한 플랫폼으로, 다양한 플러그인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예배 및 행사 관리를 위해 The Events Calendar와 Church Content 플러그인이 유용하며, 일정 관리와 교회 특화 콘텐츠 관리를 지원한다. 기부 및 헌금 관리에는 GiveWP와 Charitable이 추천되며, 다양한 헌금 옵션과 캠페인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설교 및 미디어 관리를 위해서는 SermonManager와 Seriously Simple Podcasting이 효과적이다. SermonManager는 설교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하며, Seriously Simple Podcasting은 다양한 오디오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배포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플러그인들은 교회 웹사이트의 기능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온라인에서의 선교와 교제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 |

    빅테크 LLM 서비스 비교

    2025년 기준으로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LLM(대형 언어 모델) 서비스를 정리한 것입니다. 대상 기업은 OpenAI, Google, Microsoft, Meta, Amazon, Apple, Anthropic, xAI로 한정했습니다. 정보는 최신 벤치마크(예: MMLU, HumanEval), 공식 발표, 그리고 시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특징, 추가 서비스(멀티모달, 이미지 생성, 연계 서비스, 모바일 앱 음성 대화 지원 등), 무료 vs 유료 버전 차이, 데이터 학습 기간(cutoff date), 서비스 링크를 포함했습니다.